UTP 알림마당
ULSAN TECHNOPARK

보도자료


  • home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제목 2013년도 울산테크노파크 기술지원 성과전시회 개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3-12-26 조회수 3,022
내용

2013년도 울산테크노파크 기술지원 성과전시회 개최







울산테크노파크(원장 신동식)는 12월 23일 오전11시 울산 롯데호텔 2층 크리스탈볼룸에서 산·학·연·관 관계자 및 지역 국회의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2013년도 울산테크노파크 기술지원 성과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울산TP 기술지원 성과전시회는 올해 3회 째 개최하는 것으로 매년 울산 TP가 기업과 공동기술개발, 시제품 제작지원, pilot plant 운영지원, 장비활용지원, 기술인력양성, 기술이전 및 사업화, 기술(R&BD)마케팅 지원, 신기술 창업보육 지원 등의 사업화 기술 전반이 성공적으로 선순환되어 확산되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전국 18개 TP 중 울산TP만이 유일하게 기술 지원성과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울산광역시 박맹우 시장은 울산테크노파크가 2003년 설립되어 금년 창립 10주년을 맞아 그동안 지역의 전략산업 뿐만 아니라 신성장동력 분야의 R&D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울산의 주력산업 구조고도화와 신성장동력산업 창출에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고 하였으며, 앞으로도 울산의 미래를 위해 울산테크노파크가 지역의 창조경제 시대의 구심적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하고울산지역의 경제 산업 발전에 기여한 그간의 노고를 치하하였다.


이어서 박맹우 시장은 울산TP와 함께 기술개발과 사업화에 성공한 유공자 포상에서 공이 많은 자동차, 정밀화학, 신소재, 원자력기자재 분야의 ㈜동남 정밀, ㈜디에이치홀딩스, 씨에스케미칼, ㈜이엔에프테크놀로지, ES 산단 등 5개 기업의 유공자를 치하하고 포상하였다.


울산광역시의회 서동욱 의장은 울산TP가 울산지역 기술혁신의 거점기관으로서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계속 세계적인 기술혁신기관으로 성장 발전해 나가기를 당부하였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정동창 국장은 각 시도 TP가 기술혁신의 중추기관으로 역할을 당부하면서 특히 울산TP가 그간에 이루어 놓은 매우 우수한 성과에 대해 축하와 격려 보냈다.



이날 울산테크노파크의 신동식 원장은 사업성과보고에서


???? 총 83개 과제 (총 사업비 581억 원)를 통해 기업과 공동기술개발로 『그린 전기자동차 차량부품개발 및 연구기반 구축사업』에서 기술개발 추진성과로 8개 모듈화 24개의 부품개발을 추진하였고, 기반구축 추진성과로 건축비 380억 원 규모의 지하 3층, 지상 11층의 융합기술연구소를 중구 혁신도시 클러스터 부지에 건립하고 있다.


또한 『부생가스를 이용한 녹색기술 실용화 사업』을 통해 부생 CO2를 원료로 친환경 폴리머 제조기술에 성공하여 SK에서 공장 설립을 검토 중에 있으며 부생 H2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의 에너지원화를 위한 제반기술 확보 하였다.


『울산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추진성과로는 기초 원천·융합기술분야에서 총 68건 지원에 특허 89건, 논문 147건, 사업화 제시 25건과 고용 141명, 매출(예상) 3,122억 원의 성과를 거양하였으며 현재 융복합첨단과학기술센터가 건립 중에 있다.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복지자동차 개발사업』을 통해 개조형 복지자동차의 복지시트 등 5개의 핵심부품 개발과 저속 복지전기차의 구동시스템, 전용변속기, 전용차체프레임 등 신규 핵심부품을 개발하였다.


또한 『정밀화학과 자동차 융합부품으로서 첨단미래형 소재개발 사업』에서는 기능성 실리카 함유 친환경 타이어 소재를 개발하여 합성고무 735억, 타이어 4,260억원의 매출을 실현하였고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을 13건, 논문도 5건의 실적을 올렸다. 그리고 친환경 고성능 열가소성 플리에스테르 탄성체 소재개발, 자동차 내외장용 조립용 접착테이프 개발과 자기개시형 수성UV도료를 개발하여 관련기술 실현으로 26억원의 매출도 실현하였다,


????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2차 전지 실용화기술기반』의 성과로는 2차 전지의 음극재, 양극재, 전해액 등 핵심소재의 국산화와 부품·소재 국산화 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해 1~5Ah급 단위 셀 제작설비 및 평가장비를 구축하였다.


또한『원전기자재 기술지원 확충 사업』에서는 원전기자재 산·학·연 연계 기술자 양성을 위한 10개 교육과정, 180명을 교육하였고 KEPIC 인증 지원 10건, ASME 5건, 자격 획득 지원 3건과 원전기자재 투자유치 지원 5건, 해외 마케팅 지원 15건의 성과도 올렸다.


『나노융합기술 기반구축』에서는 신규 장비 5종을 포함, 총 30종의 나노융합소재 공정/분석/평기실을 구축하여 미끄럼방지 실리카 졸 합성기술 등 총 10건을 시제품을 업체에 지원하였고 울산지역 나노기술 전문가 pool구축과 나노융합기술 확산을 위한 기술세미나 및 포럼도 4회 개최하였다.


『녹색융합소재기술지원 확대』부문에서는 탄소 배출량 산출 프로그램 및 전과정 평가DB 개발을 완료하였고 pre-marketing용 시제품 34건 지원과 공정 진단 및 컨설팅 84건, 분석지원 4,689건의 실적을 사업기간 동안에 이루었다.


???? 울산테크노파크가 보유한 정밀화학 분야의 소재 시험분석 및 시험 생산장비 등을 통해 금년 한 해에 관련 기업 459개 사에 총 15,900건의 장비지원을 하였다. 자동차 부문에서는 전국 테크노파크 중에 유일하게 설치된 완성차 충돌안전시험 장비와 신뢰성 시험, 부품개발, 연구지원 장비를 통해 지역 자동차 부품업체 뿐만 아니라 전국 단위의 업체를 포함하여 236개 기업에 2,031건의 장비지원 실적을 올렸다.


???? 기술인력양성 부문에는 전략산업 및 성장동력산업분야의 전문인력양성 및 재직자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수송기계융합부품, 정밀화학, 에너지소재, 엔지니어링플랜트, 환경, IT융합, 나노융합기술의 산업분야에서 740개 기업에서 2,775명이 참여하였다. 특히, 울산지역의 주력산업인 자동차산업, 정밀화학산업의 현장맞춤형 전문인력양성 및 첨단 교육장비를 비롯한 기술인력양성 인프라구축을 퉁해 지역 내 전문기술인력양성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기술이전 및 사업화 부문에서는 기술이전 45건 사업지원 376건, 네트워크 23건을 지원하였으며 10월에는『제1차 한-미 연차 교환 테크포럼, 2013 울산』을 개최하여 한·미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 정보통신기술, 나노융합소재기술 분야에서 12개의 기술자료 발표와 한·미 국제연계협력 다자간 LOI를 울산TP와 조지아텍(GT), 캘리포니아대학교 공과대학(UCI), 서울대학교, UNST간에 체결하였다. 11월에는 『한-러 사업투자협력포럼』개최를 통해 러시아 과학자를 초청하여 플라즈마, 화학, 에너지, 소재기술 등 최신 기술분야 9개 기업 13건의 기술협약이 체결되었다.


???? R&BD 기술마케팅사업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기술연계 마케팅 역량 강화 및 글로벌 해외마케팅 지원으로 87개 사가 1조 9천억 원의 매출액을 올렸고 수출액이 1,089억 원으로 291건의 성과를 거두어 참여기업당 평균 3건의 높은 실적을 올렸다.


???? 이번 전시회에는 2013년에 울산TP가 기업을 지원한 기술지원 과제 성과물로 『그린 전기차 부품개발 및 연구기반 구축사업』을 비롯하여 80개 사업과 이들의 기술지원 성과물이 전시되었는 데 행사에 참여한 많은 산·학·연 관계자들이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특히 금년 행사에는 시민들을 위해 행사 후 오후 5시 까지 전시가 계속된다.


???? 울산테크노파크는 본 행사를 통해 지역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공유 및 R&D 결과의 제품화를 통한 기업경쟁력 확산은 물론, 산학연관 연계협력을 통한 전략산업의 구조 고도화 및 신성장 동력 창출 뿐만 아니라 NT, IT, BT 융합기술의 확산과 기술혁신 선순환 구조정착, 글로벌개방형 기술혁신 촉진을 통해 기업 수요형 융복합 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시스템의 활성화로 글로벌 창조형 기술혁신 허브 역할로서 지역산업경제에 크게 기여해 나가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배가 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끝.

 


첨부파일  [보ub3c4자ub8cc] 2013년 성uacfc보uace0회_최uc885_20131219.hwp (52.5K)
교육센터
교육센터
클린신고센터
클린신고센터
안전신고센터
안전신고센터
웹메일웹메일
전자결제전자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