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테크노파크
ULSAN TECHNOPARK

보도자료


  • home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제목 울산, 미래 융합기술을 선도해나갈 융합기술연구소(그린카 기술센터 ?첨단과학기술센터) 본격 건립 착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3-10-04 조회수 3,835
내용

“울산, 미래 융합기술을 선도해나갈 융합기술연구소

(그린카 기술센터 ?첨단과학기술센터) 본격 건립 착수”


- 박맹우 울산시장, 기공식을 통해 미래 융합기술의 쌍두마차 체제로서, 그린카 기술센터와 첨단과학기술센터가 울산의 미래 산업발전을 이끌어 나갈 것임을 강조 -


 


???? 울산광역시와 (재)울산테크노파크는 10월 4일(금) 오전 11시에 울산의 미래 융합기술을 선도해 나갈 산···관 네트워크 거점인 융합기술연구소 건립 기공식을 개최하였다.


기공식에는 박맹우 시장과 산업통산자원부 김재홍 차관을 비롯하여 지역 국회위원, 기업체, 학계 인사 등이 참석하였다.


???? 융합기술연구소는 혁신도시내 클러스터 5부지에 총사업비 380억을 투입해서 연면적 24,558m2의 규모로, 그린카 기술센터와 첨단과학기술센터가 동시에 건립되며, 미래 지식기반산업 창출을 위한 융합기술거점으로써 울산의 ICT(정보통신기술), NT(나노기술), ET(에너지기술) 등 융합기술산업과 미래자동차산업 육성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박맹우 울산광역시장은 임기중 역점사업으로 추진해온 친환경 그린전기자동차 지원 시책과 융합기술분야 육성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며, 융합기술산업과 미래자동차산업 발전을 위해 산···관이 혼연일체가 되어 노력한 결과인 만큼, 앞으로 울산의 미래발전을 이끄는 핵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융합기술연구소 건립에 진력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 이번 기공식을 통해 구축되는 두 개의 센터중, 그린카 기술센터는 2011부터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그린 전기자동차 차량부품 개발 및 연구기반 구축사업”을 통해 건립되는데, 2016년까지 5년간 1,501억원(국비1,105, 시비129, 민자267) 규모의 지원을 받아 1회 충전시 500km이상 운행이 가능한 장거리 전기자동차 핵심부품 개발과 전기차분야 시험평가 장비 구축 등이 함께 추진 중이다. 지금까지 2년간 중소/중견 기업 등 35개 기관이 참여한 연구개발 성과로 특허 54건, 고용 201명, 논문 22건의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이 있으며, 전기자동차 R&D 인프라 장비, 시험평가장비 등을 구축함으로서 향후 울산 미래자동차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첨단과학기술센터는 2009부터 5년간 430억(국비150, 시비현금173, 시비현물 107)규모로 수행되고 있는 “울산과학연구단지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된다. 그간 관련 사업수행을 통해 울산의 융합과학기술분야에 68건, 58억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지원해서 “무접점 브레이크 시스템” 등 특허 89건, 논문 147건, 성과물 54건의 사업성과를 거둔 바 있다. 특히 변속기 허브 양면열처리 기술, 전기자동차 고압 배터리 충전장치, 배터리 쿨링모터 고효율화 등 3건의 개발기술은 이미 사업화가 완료되었고, 51건의 기술은 사업화 진행중에 있다.


???? 한편, 융합기술연구소는 지난 2012년 3월부터 본격적인 설계를 시작해서, 올해 2월까지 실시설계를 마쳤고, 지방건설기술심의, 디자인심의 등 사전심의 과정을 거쳐 설계안을 확정한 바 있다. 건설업체는 조달청 경쟁입찰을 통해 선정했는데, 울산지역 기업인 세영종합건설(주)에서 공사를 맡게 되었다. 본격적인 건축공사는 이번 기공식을 기점으로 시작해서 2015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융합기술연구소는 지하 3층, 지상 11층(그린카 기술센터) 및 7층(첨단과학기술센터) 규모로 건축되며, 기업연구실, 시제품 제작실, 회의실, EV 충전설비 등이 구축될 예정이다. 전기/전자 부품효율측정기, 배터리시험기, 모터다이나모 등 융합기술 및 친환경차량용 연구개발 장비들도 구축된다.


미래기술의 쌍두마차인 그린카기술센터와 첨단과학기술센터로 구성되는 융합기술연구소가 완공되면, (IT, NT, ET) 융합기술 및 미래 자동차산업분야 70개 이상의 기업연구소 유치하고,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시제품제작 ▲신뢰성 시험분석 ▲기술인력양성 ▲기술마케팅 ▲기술이전사업화 등 종합적 지원을 실시해서 시너지 효과를 제고함으로서, 융합기술분야 기업이 계속 발전해나갈 수 있는 산업생태계 조성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이날 기공식에는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과 정갑윤 국회의원, 이채익 국회의원, 박맹우 울산광역시장, 서동욱 울산광역시의회의장 등 지역 정치계, ㈜신영 강호갑 회장, 덕양산업(주) 박용식 대표, ㈜덕산하이메탈 이준호 회장, ㈜한국몰드 고일주 대표, 김 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이 철 울산대학교 총장, 허정석 울산과학대학교 총장 등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첨부파일  20131004_융ud569기uc220연uad6c소 개uc18c식.hwp (116.0K)
교육센터
교육센터
클린신고센터
클린신고센터
안전신고센터
안전신고센터
웹메일웹메일
전자결제전자결재